본문 바로가기

꿀팁

[생활꿀팁] 외국 플러그를 한국 플러그로 바꾸기 (I, A타입 플러그→F타입플러그로 바꾸기)

요즘 해외 직구 많이들 이용하시죠?

문제는 나라별로 플러그가 달라 항상 변환 플러그를 이용해야하는 것이 꽤 불편하다는 건데요

그래서 오늘은 220V 제품들의 플러그를 F타입 플러그로 한 번 교체해보겠습니다

 

 


 

 

제가 변환할 것은

(좌) I타입 플러그, (우) A타입 플러그입니다

(좌) I타입 플러그 / (우) A타입 플러그

 

 

 


준비물

가위(*원래라면 니퍼), 드라이버, 접지 플러그

플러그는 다이소에서 구매했습니다

(소위 말하는 똥손 분들은 니퍼를 준비하세요, 안그러면 선이 점점 짧아지는 마법같은 일이 펼쳐집니다)

 


 

 

※ 주의사항 ※

아래 사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1번의 사용합계전류 16A(3,000W)이하로 사용하십시오." 입니다

3,000W 이상의 전기를 사용하는 제품은 별로 없지만 

혹시나 콘센트 플러그를 바꿀 경우, 콘센트에 꽂힌 전기사용량을 확실히 계산해보셔야 합니다

니퍼가 없어서 차선으로 가위... 똥손은 니퍼를 꼭 사용하세요

 

 

 

 

 

우리나라 표준 전기는 220V-60Hz인데 아래의 청소기(보이지않지만 청소기)는 220v-50Hz 입니다

헤르츠(Hz)가 맞지 않으면 청소기같은 경우 모터가 들어가 있어서 모터회전수가 달라지지만

제 생각으론 10Hz 정도는 크게 차이가 나지않을 것 같네요

 

 

 

 

 

전선을 가위 또는 니퍼로 사정없이 잘라줍니다

단! 실패했을 때 다시 이어붙여야 하기 때문에 최소 10cm 정도는 여유를 가지고 잘라줍니다

 

 

 

 

 

가위로 아래 사진과 같이 피복에 살살 흠집을 내어줍니다

안쪽 피복이 보이지 않을 정도의 흠집만 내줍니다

 

 

 

 

 

1) 꺾고,

2) 반대편도 다시 꺾어서 겉피복이 다 찢어져서 안쪽 피복이 보이면

3) 바깥쪽으로 강하게 당겨 겉피복을 완전히 빼줍니다 

 

 

 

 

 

안쪽 피복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벗겨줍니다

재조립시 나사로 눌러주어 최종적으로 연결될 부위는 구리선이므로 너무 짧게 벗겨내면 안됩니다

안쪽 구리선은 꽤 약하므로 더 조심하여 작업하셔야 합니다

 

얼굴 내민 구리선을 손가락으로 돌돌 감아 정리해줍니다

(노란색선-손가락으로 선을 정리하기 전 / 파란, 갈색선-선을 정리한 상태)

 

 

 

 

접지 플러그의 나사 3개를 풀어줍니다

 

 

 

 

 

위에 작업한 케이블 중 위사진에는 노랑+초록색선(접지)을 연결하고,

아래 사진에는 남은 선을 아무곳에나 꽂아줍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조립될 부분은 정리된 구리선으로, 이 부분을 나사로 꾹 눌러 조여주셔야합니다.

겉피복(파랑,갈색,노랑 등)이 아닙니다.

 

 

 

 

 

 

세 가지 선중에 노랑+초록선은 접지선이기 때문에 연결이 안되어도 되지만

파란색, 갈색선은 반드시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노랑+초록색선과 자리가 바뀌면 안됩니다

ac(교류전류)는 +, -가 없기 때문에 방향은 상관없습니다(대충 갈색, 파란색선 둘의 위치는 바뀌어도 상관없단 소리)

접지선(노랑+초록) 연결모습

 

 

 

 

조립 후 나사를 다시 잠그면 완성.

 

 

 

 

 

 

A타입 플러그도 같은 방식으로 작업해줍니다

 

 

 

 

 

이렇게 I타입 플러그와 A타입 플러그를 F타입 플러그로 변환해보았습니다

 

주의할 점은 반드시 220V 또는 xxxV~xxxV (사잇값에 220V가 들어가있는 경우) 제품에만 변환 사용하셔야 한다는 점입니다

그렇지않을 경우 제품에서 갓 구운 빵처럼 따끈따끈한 연기가 올라오면서 플라스틱이 녹아내리는 진귀한 경험을 하실 수 있습니다